반응형
여름철 폭염은 우리의 건강에 심각한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특히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취약 그룹에 속한 사람들은 더욱 주의가 필요합니다. 폭염은 단순한 더위를 넘어서 심각한 건강 문제를 일으킬 수 있는 자연재해로 열사병이나 열탈진과 같은 위험이 증가하기 때문에 취약 계층은 특별한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공사장 야외근로자공사 현장에서 일하는 근로자들은 높은 온도와 강한 햇볕에 지속적으로 노출됩니다. 이로 인해 열사병과 같은 심각한 건강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고령층 논밭 작업자나이가 많은 농업 종사자들은 논밭에서 작업할 때 체력 소모가 크고 폭염 시에는 그 위험이 더욱 커집니다. 이들은 체온 조절 능력이 떨어져 폭염에 더 쉽게 영향을 받습니다. 독거노인 등 취약계층혼자 지내는 노인이나 노숙인은 보..
취약계층을 위한 고충민원 신청을 2024년 5월 1일부터 6월 30일까지 집중적으로 접수받고 있습니다. 이번 집중신청 기간에는 다음과 같은 안전 우려 사항에 대한 민원이 처리될 예정입니다.태풍과 폭우 등 자연재해로 인한 침수와 주택 및 시설물 붕괴 위험부당한 이유로 긴급생계지원비가 지급 거부되는 사례폭염 대비를 위한 노인 휴식 시설 관리 부실어린이 놀이터와 같은 위험 시설 관리 미흡 신청 방법고충민원 신청 및 상담은 언제든지 '국민콜110'을 통해 24시간 가능합니다.온라인: 권익위 누리집이나 국민신문고를 통해 신청우편: 세종특별자치시 도움5로 20, 국민권익위 1층 (세종 종합민원사무소)방문: 세종 종합민원사무소나 서울 정부합동민원센터 방문팩스: 044-200-7971 (연락처 필수 기재)
취약계층 난방비 부담을 덜어드리고자 등유와 LPG를 사용하는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난방비 지원합니다. 신청 기간 및 방법 신청 기간: 2023년 12월 18일부터 2024년 1월 19일까지 신청 장소: 거주지 읍·면·동 행정복지센터 지원 대상 기초생활수급자 또는 차상위 계층 생계·의료·주거·교육급여 수급자 포함 *등유 또는 LPG 보일러를 주 난방 수단으로 사용하는 가구 지원 내용 지원 금액: 세대 당 최대 59만 2000원 2023년 동절기 에너지바우처 수급세대에게는 59만 2000원과 동절기 에너지바우처 지원액의 차액을 지원 사용 방법: 등유 또는 LPG 판매소에서 카드로 현장 구매 또는 배달 주문 결제 가능 (배달비 포함) 사용 기간: 2024년 1월 10일부터 6월 30일까지 문의처 한국에너지공단 ..
폭염이란 여름철 33℃ 이상 불볕더위를 폭염이라 하며 이런 폭염에는 냉방시설이 있는 실내로 대피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 무더위 쉼터란? 경로당, 마을회관, 주민센터, 아동센터 등 운영비, 냉방비를 지원받는 시설로 노인·어린이·취약계층이 시원한 여름을 보낼 수 있는 시설입니다. 무더위 쉼터 찾기 시, 군구, 읍면동을 선택하면 해당 지역 쉼터를 찾을 수 있습니다. https://www.safekorea.go.kr/idsiSFK/neo/sfk/cs/sfc/htw/htweaiList.html?menuSeq=862 국민재난안전포털 www.safekorea.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