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폴리그래프 일명 '거짓말 탐지기'는 드라마나 영화에서 흔히 보는 장비로 용의자가 심문실에서 긴장한 채 거짓말 탐지기를 사용하여 진실 여부를 가리는 장면으로 접할 수 있습니다. 진술 과정에서 거짓말을 하게 되면 거짓이 탄로 날지도 모른다는 긴장, 초조, 불안, 두려움, 공포, 죄의식 등의 감정적 변화로 교감신경이 반응하게 됩니다. 거짓말 탐지기는 발한(땀), 혈압, 맥박, 호흡과 같은 생리적인 요소를 측정하여 교감신경 변화를 측정합니다. 거짓말 탐지기는 교감신경 변화를 측정하는 데에는 정확하지만 거짓말을 하고 있는지를 항상 정확하게 판단하는 것은 아닙니다. 사람들은 진실을 말하면서 흥분된 반응을 보일 수 있습니다. 실제로 거짓말 탐지기는 거짓 긍정(진실을 말하는데 거짓말로 판단) 또는 거짓 부정(거짓말을 ..
지구가 태양 주위를 한 바퀴 도는 데 걸리는 시간은 정확히 365일이 아니라 약 365.2425일입니다. 당장은 큰 차이가 없지만 작은 차이가 쌓이면 계절과 달력이 일치하지 않게 됩니다. 예를 들어서 차이를 보정하지 않으면 수백 년이 지나 겨울이 6월에 오게 될 수도 있습니다. 윤년을 추가하는 것은 이러한 불일치를 교정하기 위한 것입니다. 4년마다 한 번씩 2월 말에 하루를 추가해서 총 일수를 365일에서 366일로 만듭니다. 윤년 덕분에 양력은 태양년과 매우 근접하게 일치하며 계절과 달력을 일치시킬 수 있습니다. *4년마다 1일을 추가하면 과잉 보정이 일어나기 때문에 100년 단위로 윤년을 제외합니다. (예: 1700, 1800, 1900년은 윤년이 아님) *100년 단위로 윤년을 제외해도 보정이 틀어..
개 혹은 고양이를 키워본 사람이라면 포유류는 귀를 움직여 소리의 위치를 파악하거나 감정을 표현한다는 사실을 잘 알고 있을 것입니다. 이개근이라는 귀 주변 근육으로 이런 귀의 움직임이 가능합니다. 인간 또한 귀 주변에 이개근이라는 근육이 있습니다. 이개근은 앞귓바퀴근(앞쪽), 위귓바퀴근(위쪽), 뒤귓바퀴근(뒤쪽)으로 구분되며 근육을 조절해 귀를 움직일 수 있지만 인간은 소리를 잡아내기 위해 이개근을 사용하지 않고 머리 위치를 조정합니다. 놀라운 사실은 훈련을 통해 인간 또한 이개근을 사용할 수 있고 어느 정도 귀를 움직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재미있는 특징일 뿐 인간의 생존과 소통에 큰 역할을 하지 않아 퇴화 중인 기능입니다.
순막은 제3의 눈꺼풀로 불리며 대부분의 포유류는 퇴화한 흔적기관입니다. 포유류 중에서 일부인 고양이, 물범, 북극곰, 낙타는 제대로 기능하는 순막을 가지고 있습니다. 순막은 눈을 깨끗하고 촉촉하게 유지시키고 포식지로부터 동공을 숨기는 기능을 하며 눈을 보호하는 역할을 합니다. 일부 종은 투명한 순막을 가지고 있어 물속에서 시력을 유지하는 기능을 합니다. 대부분의 포유류가 완전한 기능하는 순막을 왜 잃었는지에 대한 정확한 이유는 밝혀지지 않습니다. 하지만 서식지와 생리적 변화로 더 이상 필요하지 않게 되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현생인류는 아프리카에서 시작되어 아프리카 밖으로 이주하면서 다양한 서식지에 살게 되었고 문명은 크게 발달하였습니다. 아프리카에서 거주하던 초기 인류는 날고기, 식물의 잎과 뿌리, 견과류 등 거친 음식을 주로 섭취했고 사랑니는 어금니의 역할을 하였습니다. 문명이 발전하며 인간의 식단은 부드러워졌고 턱이 점차 작아지며 치아가 들어갈 공간이 부족하게 되었으며 세 번째 어금니인 사랑니가 갈 곳을 잃게 되었습니다. 때문에 사랑니가 나오지 않거나 나와도 문제를 일으키는 경우가 많습니다. 정리하면 사랑니는 제3의 어금니였지만 필요가 없어지며 흔적만 남게 되었습니다.
임신 6주 차 태아는 여러 개의 척추뼈가 있는 꼬리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발달 후 몇 주가 지나면 꼬리는 사라지고 시간이 지나면서 척추뼈가 융합되어 성인의 꼬리뼈인 천골을 형성합니다. 인간과 유인원은 다른 영장류와 다르게 꼬리가 없지만 영장류에게 있는 꼬리가 왜 유인원에게는 없는지 아직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드물게 인간의 아이도 미발달된 꼬리를 가지고 태어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꼬리는 일반적으로 해가 없지만 수술을 통해 제거합니다.